토론회·강연회 | 국가미래전략원 개원 1주년 기념 대담회

한국은 오랜 기간 교육 강국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들어 국내 교육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 국가미래전략원은 지난 23일(목) 우석경제관(223동)에서 개원 1주년 기념 대담회 ‘교육 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를 개최했다. 이번 대담회는 국가미래전략원 반기문 명예원장의 인사말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유홍림 총장 ▵오세정 전 총장 ▵국가미래전략원 김병연 원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이우일 부의장 ▵염재호 전 고려대 총장 ▵김세직 교수(경제학부)가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기조연설: 한국 교육의 맹점

본격적인 대담회 전에는 이주호 장관의 기조연설이 있었다. 이 장관은 먼저 “지역 내의 우수한 인재가 서울로 몰리는 유출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라며 지역 소멸 문제를 짚었다. 그는 유럽 지역 내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의 사례를 들며, 지역 교육 시설의 복합화와 지역 사회 중심의 발전을 통한 인재 유입이 지역 인재 소멸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이야기했다. 이 장관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RISE)를 소개하며 국가가 대학에 관한 행정과 재정적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그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인성에 집중하고 지식은 AI 코스웨어*를 활용한 개인별 맞춤 학습으로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모두를 위한 개별 맞춤 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했다.

 

대담회: 대학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이어진 대담회에서는 대입 제도 및 대학 교육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무엇보다도 전공을 나눠 학생을 교육하는 현행 대학 교육 제도가 학제적 접근에 취약하다는 점이 고질적 문제로 지적됐다. 유홍림 총장은 분과별로 분절적인 칸막이가 학생의 통합적 사고를 막는다고 지적했다. 염재호 전 고려대 총장은 이에 대해 “학생들이 학과에 얽매이는 체계를 해체하고 자율성을 강화한 융합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이어 창의력 함양 교육도 화두에 올랐다. 김세직 교수는 “면접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시험하기 위해 ‘그동안 살면서 한 번이라도 다른 사람들이 떠올리지 못한 것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면 말해보라’고 물었지만, 학생 대부분이 대답하지 못했다”라며 안타까워했다. 염 전 고려대 총장은 “지난 30년간 모든 종합대학이 연구중심대학을 추구하며 지식을 생산하는 데 주력해 왔다”라며 “그러다 보니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에는 거의 신경을 쓰지 못했다”라고 짚었다. 특히 그는 “학생들은 학부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하는데 우리는 전공에 대한 지식만 강의한다”라며 주체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시스템의 부재와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담회에 참여한 인사들은 대학이 궁극적으로 인재 양성의 장이 돼야 한다는 데에도 입을 모았다. 이주호 부총리는 “항공·우주,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 헬스, 첨단 부품 및 소재, 디지털, 환경 에너지 등 첨단 분야에서 국가가 앞장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로써 대학이 더 자유롭게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의미다. 한편 이우일 부의장은 서울대에서 반도체 학과 설치 관련 논란이 있었던 것과 관련해 “서울대에서 반도체 장비를 다루는 인력을 길러야 할지가 의문이다”라며 산업의 현재 요구에 맞춘 이공계열 교육 체계의 획일화를 문제로 지적했다. 

대담회를 마치며 김병연 원장은 “입시 부담 증가, 교육 불평등 문제 등 다루지 못한 것이 많다”라며 “교육 개혁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사회적 성찰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는 말과 함께 교육 의제에 관한 논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AI 코스웨어: 교과과정(course)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인 코스웨어와 인공지능(AI)을 합친 말. 인공지능이 직접 학생을 분석해 진단한 결과에 맞춰 수준별 학습을 진행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