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 개최된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회‧세칙 공청회’에서는 비례대의원 도입과 학생회비 배분 방식 조정 등 학생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굵직한 주제가 논의됐다. 이번 공청회는 회‧세칙 개정안 초안이 총학생회(총학)가 강조한 ‘공정한 비례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생사회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그러나 총학을 제외한 학생 참석자는 4명에 불과했으며, 그마저도 학내 언론 구성원이 대부분이었다.

학생사회의 저조한 참여는 비단 이번 공청회만의 문제가 아니다. 올해 열렸던 ‘2023년도 생협 대의원 총회’, ‘다전공제도 활성화를 위한 교육위원회 포럼’ 등도 학부생 참여도가 높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생활협동조합(생협) 대의원 총회에서 생협 본부가 학생사회의 낮은 관심도로 인해 다양한 의견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힌 상황 (『대학신문』 2023년 3월 27일 자)이나 교육위원회 포럼의 유일한 학부생 참여자가 총학 구성원이었다는 사실 (인터넷 『대학신문』 2023년 7월 9일 자)은 공청회에서 총학과 학내 언론을 제외한 일반 학생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공청회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관심은 예전부터 교내 민주주의 측면에서 지적받던 문제로, 이에 대해서는 학생사회의 자발적인 노력도 물론 필요하다. 하지만 동시에 학내 공청회를 주최하는 주요 주체로서 대학 본부와 총학 역시 현재의 공청회를 되돌아보고 공청회에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지점들이 있다. 학내 공청회는 대부분 현장 진행 방식을 취하며, 개회사‒주제 발제‒질의응답‒폐회사라는 다소 딱딱하고 일방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주제를 잘 알지 못하는 학생은 공청회 내용이 어렵고 지루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으며, 주제에 관심이 있는 학생도 공청회를 그저 형식적인 절차라 생각해 참여를 꺼리거나 시간이 맞지 않아 참여하지 못하게 된다. 본부와 총학은 발표 형태의 일방향적인 소통보다는 쌍방향적인 소통이 가능한 형식을 마련해야 한다.

공청회 및 포럼에 대한 사전 공지 및 사후 소통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 공청회의 사전 공지는 대부분 학과 단톡방과 학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전달된다. 본부와 총학은 카드뉴스 배포 등을 통해 공청회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공지는 수많은 홍보나 단신 형태의 공지에 파묻히는 일이 잦기에 더 나은 공지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공청회 이후의 진행 상황에 대한 피드백도 현재는 미흡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공청회 결과가 공유되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공개되더라도 홈페이지에 보고서 형태로 뒤늦게 올라와 공청회에서의 의견이 결정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공청회 이후 논의 과정까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면 학생들도 효능감을 느끼고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기존 공청회에 대한 검토와 개선 노력, 그리고 이에 부응하는 학생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모인다면 교내 민주주의가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공청회가 형식적이고 일방적인 정보 전달의 자리가 아닌 활발하게 학생사회와 소통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