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교수 사태’를 둘러싼 논란이 서울대 차원에서는 일단락 되고 이제 검찰의 손으로 넘어갔다. 그러나 한국사회 전체를 놓고 본다면 ‘황우석 교수 사태’는 진행형이다. 그 까닭은 ‘황우석 교수 사태’의 근저에 놓여 있는 사고방식과 행태들이 한국사회 여러 분야에서 여전히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성장, 국가안보, 다수의 행복증진이나 국익신장이라는 명분 앞에 과정의 정당함과 진실이라는 가치가 실종돼 버렸을 때 어떤 참혹한 결과를 낳는지우리는 멀지 않은 과거에 절실하게 체험한 바 있고, 현재에도 충분히 목도하고 있다. ‘황우석 교수 사태’가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서 진지하게 성찰해야 할 소재들을 남겨놓고 있다는 점에서 뒤늦게나마 ‘황우석 교수 사태’를 뒤돌아보며 몇 가지 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선 무엇보다 서울대의 입장에서는 황우석 교수와 공동저자들의 논문 조작 행위가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는 점을 지적해야 할 것이다.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엄밀한 조사 결과 황우석 교수팀의 논문조작행위가 사실로 확인돼 관련 저자들에 대한 중징계가 내려진 상태다.  논문조작행위가 학문공동체에서는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행위임을 학문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선언하였다는 점에서 서울대의 이러한 조치를 환영하는 바이다.


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황우석 교수 사태’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적절한 제도를 마련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당사자들 개인의 윤리적 덕목에만 의존하는 연구검증 풍토를 탈피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도적 틀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본다.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연구진실성위원회’와 같은 제도를 설치함으로써 다시는 이러한 불미스러운 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논문조작과 같은 행위들에 대한 엄중한 징계를 내리는 징계제도를 확립하고 이를 엄격하게 실행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연구실 및 실험실 문화도 바뀌어야 한다.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교수와 연구원들 사이가 봉건적 주종관계와 같고 연구원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면 이러한 점들도 반드시 지적되고 개선돼야 한다.


다음으로 생명공학의 정의문제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의식을 드높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난자제공과정에서의 비윤리적인 문제도 그러려니와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지원이 어떤 의사결정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지, 생명공학기술의 혜택이 과연 어떤 집단에게 어떤 방식으로 배분될 것인지와 같은 문제들에 대해 사회전반적인 공론화 과정이 필요했다.  또 이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 없이 무비판적으로 황우석 교수를 떠받들던 언론들의 태도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대학신문』 역시 그러한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황우석 교수 사태’가 서울대에, 한국의 과학계 및 학문공동체에, 한국사회 전체에 남긴 후유증이 크지만 이로부터 우리 각 개인이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지에 따라 한국사회가 나아갈 방향과 수준이 정해질 것이다. 다시 한 번 각자 자신 속에 스며들어 있는 ‘황우석 교수 문화’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성찰을 촉구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