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경제기사 바로보기 ② 통계

19세기 영국 총리였던 벤자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는 “세상의 세 가지 거짓말은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라는 말을 남겼다. 경제기사를 읽을 때 되새겨 볼 만한 문구다. 통계는 해석하는 사람에 의해 왜곡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근로자들 노조에 등돌린다…노조조직률 10.3% 사상최저”(「한국경제신문」 11월 10일자) 기사는 노조조직률 저하의 원인을 노동자들의 노조에 대한 무관심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노조를 조직하기 어려운 비정규직 노동자가 증가한 점이 고려되지 않았다. “땅부자 상위 1%가 개인토지 57% 차지”(「세계일보」 10월 3일자) 기사에서도 이런 양상이 드러난다. 땅을 소유한 개인이 대부분 한 가정의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50만 명(1%)이 아닌 실제로는 50만 가구라 보아야 한다. 평균적인 한 가구의 구성원이 3~4명이라 할 때 토지편중실태는 실제보다 3~4배 정도 부풀려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중잣대로 통계를 왜곡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큰 정부? 작은 정부?”(「중앙일보」 4월 5일자) 기사는 “국제 기준에 따르면 대한민국 정부는 작은 정부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기사를 보면 국제 기준에 맞는 정부재정 지출액은 중앙정부 지출액 외에 산하기관과 지방정부 지출액까지 합산해야 한다. 그런데 이 지출액이 미국, 영국 등 선진국과 비교해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기획예산처 재정정책과 오상우 서기관은 “비교 대상국에는 국제 기준을 적용했지만 우리나라에는 공기업의 경제활동 등 국제 기준에 속하지 않는 부분까지 포함해 한국의 재정규모가 부풀려졌다”고 지적했다.

외국 기관이 발표하는 국제경쟁력 수치를 맹신하는 보도 실태도 문제다. “국가경쟁력 평가는…한국 갈수록 낮아져 올해 태국보다 못한 38위”(「한국경제신문」 10월 23일자) 기사는 스위스의 국제경영개발원(IMD)과 세계경제포럼(WEF)의 발표를 인용해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보도한다. 경제개혁연대의 최한수 팀장은 “지표들이 정부 및 기업의 효율성 등 자유경쟁체제를 옹호하는 측면에 치우쳐 있고 설문 등의 주관적인 평가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원희 교수(국민대 경제학부)는 “다양한 언론을 접해 왜곡에 현혹되지 않는 균형 감각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