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대학 기숙사 수용인원 늘리려 노력
국회에선 학생복지주택 법안 추진 중

비싼 주거비용 탓에 지방에서 서울로 유학 온 학생들이 갈 곳을 잃고 있다. 집값은 갈수록 상승하고 학교 기숙사는 시설이 부족해 입사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지방 학생은 가격이 저렴하고 강의실과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각종 부대시설을 갖춘 기숙사를 선호한다. 비교적 저렴한 녹두 일대의 한 달 방값은 30만원인데 비해 관악사의 한 달 비용은 약 14만원으로 훨씬 저렴하다. 하지만 기숙사에 입사하기란 쉽지 않다. 입사 희망자는 많지만 관악사가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한정돼 있어 매 학기 경쟁률이 3:1 이상으로 치솟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기숙사에 입사하지 못한 학생들은 어쩔 수 없이 학교 주변에서 자취 또는 하숙을 해야 한다. 녹두에서 자취를 하는 민충기씨(체육교육과·06)는 “기숙사 생활보다 늘어난 주거비를 충당하려고 올해부터 봉사장학생 활동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에 관악사는 수용인원을 늘리고자 대규모 신축 공사를 계획하고 있다. 장기발전위원회는 지난 3월 “기숙사를 확충하는 등 서울대를 세계적 수준의 복지 환경을 갖춘 대학으로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관악사는 현재 학부생 2200여 명을 수용하고 있지만 신축공사가 완료되면 4000여 명의 학부생을 수용할 수 있다. 서울대는 이번 신축공사를 민간 기업이 건물을 건설하고 수익권한을 가지되 건물 소유권은 정부가 가지는 민간자본유치사업(BTL)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의 국가재정 운영방식으로는 국립대의 기숙사 수용률을 30%로 확대하는 데 28년이 소요될 예정이라 대규모의 기숙사 시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부산대, 안동대 등 많은 학교에서도 BTL 방식으로 건물을 짓고 있다.

타대에서도 학생들에게 저렴하고 안정적인 거주공간을 제공하고자 여러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 원주캠퍼스는 국내 최초로 생활밀착형 교육 프로그램인 ‘레지던셜 칼리지’를 도입했다. 레지던셜 칼리지는 2007년도 신입생부터 주거지역에 상관 없이 희망자 전원이 기숙사에 입사할 수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또 연세대는 기숙사 내에서 방과 후 동아리 활동이나 교양강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학생 복지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에 위치한 대학에는 신축 부지 부족 등 대학 당국이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많다. 사회적 차원의 대안 마련이 필요한 것이다.
 
열린우리당 김교흥, 정장선 의원은 ‘학생복지주택’법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건설교통부와 교육부가 이를 검토 중이다. 이 법안은 학생복지주택을 건설한 업체가 방값을 싼 가격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당 업체에 여러 혜택을 제공해 주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학생복지주택지역은 주택은 물론 제반부대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형태로 학생들의 새로운 보금자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