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입학전형에서 시작된 사범대학 모집단위 광역화가 시행 3년째로 접어들고 있다. 국민윤리교육과는 2002년부터 2003년 모집 때까지는 교육학과,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와 더불어 사회교육계라는 단위를 통해 모집이 이뤄졌다. 하지만 올해 입학전형에서는 교육학과와 함께 ‘인문교육계’라는 이름으로 계열을 구성하게 됐다. 그 대신 사회교육계는 교육학과와 국민윤리교육과를 제외한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로 개편됐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공통사회과에 일반사회, 역사, 지리 과목이 통합·편입됨으로써 간 연관성을 증대하기 위한 조치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인문교육계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교육학과와 국민윤리교육과는 중등학교의 교과 과정에서 사회교육계 편성의 경우와 달리 그 연관성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또 교육학과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 교과 교육을 위한 학과들과 달리 교육학이라는 학문 연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과라 할 수 있으므로 근본 성격이 국민윤리교육과와 다르다.

또 사전에 충분한 대책 마련 없이 계속되는 학과 체계의 변동이 가져오는 파급 영향에 대해서도 고민해 봐야 한다. 현재 학과 내 선후배간의 인간적 교류, 학생 자신의 과 정체성 등 여러 중요한 문제들이 학과 체제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사범대 인문교육계와 그 전신인 사회교육계의 학생회 체제를 살펴 보면 ‘2002년: 예비전공 선택제→2003년: 과/반체제(사회교육계 내)→2004년: 과/반체제(인문교육계 내)’로 매년 바뀌어 오면서 학생 간 유대감과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큰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인문교육계는 여러 과가 아니라 두 과로 구성되면서 국민윤리교육과는 내년 이후 학생회의 구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현 체제가 가지고 오게 될 부정적 파급 영향이 클 것이라고 본다.

지난해 사회교육계열을 지금의 형태로 분할한 것 역시 사회교육계열을 분리한 후 행정 편의상 이루어진 조치로 보이기까지 한다. ‘인문교육계’라는 명칭 자체도 문사철을 대변하는 것도 아니고 학문의 특성을 간과하고 임의적으로 부여된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교육학과와 국민윤리교육과를 묶어 인문교육계로 구성한 것은 그 타당성이나 파급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심각하게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한혜민 국민윤리교육과·01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