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 찾기‘

얼마 전 중국에서 ‘동북 변강역사와 현상계열 연구공정(약칭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고구려사가 중국 변방 민족의 역사라는 주장이 제기돼 고구려사 문제가 학계와 사회에 논란이 된 바 있다. 지난 26일(금), 27일 한국고대사학회는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주제로 고구려사 국제학술 심포지엄을 열어 고구려사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미하일 N. 박준호 교수(모스크바대)는 「한국역사에서 고구려의 위치」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주장에 대한 반박을 시도했다. 고구려인이 먼 옛날부터 중국 동북지역에 살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중국 동북지역이 그 때부터 중국 영토였다고 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다. 박 교수는 “오늘날 동북지역이 언제나 중국의 영지라고 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며 중국의 동북지역은 수 천년간 수많은 민족들이 자기만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며 살아온 곳임을 강조했다.

 


고조선에서 고구려 역사의 정체성을 찾은 김정배 교수(고려대ㆍ한국사학과)는 『삼국유사』 고구려조에서 동명이 단군의 아들이라고 표기된 부분을 인용해 고구려는 고조선의 역사를 이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시간적으로 단군과 고구려를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이나 오히려 이 점에서 고구려가 선대의 단군관을 수용하고자 한 역사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발해는 고구려를 이어 건국됐고 ‘해동성국‘이라는 명칭에서 그 위상을 알 수 있다“며 중국이 발해를 말갈족의 역사로 폄하한 데 대해 반박했다.

 

고구려사의 중국사 편입 주장은 역사적 근거 없어

 


북한 사회과학원의 조희승 씨는 「고구려는 조선의 자주적인 주권국가」에서 고구려의 무덤쓰기(장법)와 석실봉토분(돌칸흙무덤) 등의 문화유물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가 다같이 공유한 조선 공통적인 것으로, 중국의 것과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고구려사의 정체성뿐 아니라 고구려 고분군이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유산 에 등재가 결정된 것을 계기로 고구려의 문화유산에 대한 발표도 활발했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고구려 문화의 성격과 위상」에 대해 발표한 안휘준 교수(고고미술사학과)는 “고분벽화는 기록을 위해 그려진 그림이기 때문에 문헌으로서 큰 가치를 가진다“며 “고분벽화를 통해 고구려인의 사상, 미의식, 생활과 풍속 등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고분으로 밝혀진 안악 3호분(357년)에서 볼 수 있는 연꽃 봉우리 장식은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된 것으로 전해지는 372년보다 15년 빠른 357년에 이미 불교의 부분적 수용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광개토대왕, 장수왕 등의 영웅만 기억하고 고구려를 군사대국으로만 생각하는데, 이는 편향된 시각“이라며 고구려가 ‘문화대국‘임을 강조했다.

 

고구려는 독자적 문화 가진 ‘문화대국‘

 


한편 박아림씨(미국 UPENN)는 「중국 고분벽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비교 연구」를 발표했다. 형식적인 면에서 중국 한(漢)대 고분은 화상석으로 고분을 장식했는데, 고구려는 돌을 사용하는 기술이 뛰어났음에도 화상석 고분이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중국 고분벽화의 내용은 효행도와 같은 교훈적인 주제가 대부분인 데 반해, 고구려는 견우와 직녀와 같은 전설의 인물들을 등장시키는 등 고구려인의 정서에 맞는 주제를 선택했다. 박 교수는 “비록 고구려가 벽화 고분을 짓기 시작한 것은 한대 고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고구려는 건축구조와 벽화의 주제면에서 독자적이고 고유한 성격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종택 교수(고려대ㆍ고고미술사학과)는 「남한의 고구려 유적ㆍ유물 연구의 몇 가지 문제」에서 남한 지역의 고구려 고고학에 대한 연구는 백제나 신라ㆍ가야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비하면 초보적인 수준임을 지적했다. 그는 “남북 분단으로 고구려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중국 동북지방과 북한 지역의 고고학 자료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불가능해 남한 학자들의 고구려 고고학 연구는 보고서에 게재된 간접적인 자료를 통한 것이라는 한계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