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장애인에 대한 관심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학내 구성원 인권유린 막기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황효진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필자는 서울대가 아닌 곳에서 학부과정을 마치고 사회생활을 몇년간 하고서야 뒤늦게 대학원에 들어온 늦깎이 학생이다. 그래서인지 서울대라는 한국 일류 학교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그런 측면에서 자대생, 타대생 출신의 학생들과의 소통을 위해 자치회장을 자임했다. 하지만 필자는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면서 그리고 자치회장으로 학교의 일을 하면서 크게 2가지 면에서 아쉬움을 느꼈다.

첫째, 사회복지라는 학문이 소외된 계층에 대한 배려가 밑바탕이 되어야 하는 점에도 외국인이나 장애우 학생들에 대한 학과 내의 배려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글로벌화를 추구하는 학교의 큰 방침에 따라 외국인 교수와 외국인 학생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어가 아직 서툰 학생이나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 교수들에게 사회복지학과의 정보들이 대부분 한국어로 전달된다는 점은 글로벌화와는 동떨어진다. 물론 행정의 세세한 부분까지 영어로 표기하는 것 자체가 조교나 행정직원의 업무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사실이나, 처음이 그렇지 지속적으로 업무량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는 없다. 지금이야 외국인 학생이 몇 명 안 돼 일일이 학생들을 통해 설명한다지만 외국인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몸이 불편한 학생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자리배치나 학습 도우미 지원은 예산 부족이라는 이유로 제한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될 부분은 아니다. 사회적으로 더 많은 장애우와 외국인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는 현 추세에 부합하지도 않는다.

두번째, 자치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다. 일전에 학내에서 대자보로 조교에 대한 비판적인 글을 쓴 학생을 놓고 자치회에서는 아무 일도 하지 못했다. 그것은 물론 그 당시 자치회장을 했던 나의 문제도 있었겠지만 학생들의 자치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즉 자치회가 과연 공식적이냐 비공식적이냐를 놓고 학생들은 자신의 권리를 포기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혹자는 자치회가 학생회와는 엄연히 다르므로 자치회가 학생들 개개인의 권익을 위해 기능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회의적으로 이야기했다. 그렇다면 과연 대학원생들의 권익을 위한 이야기는 어디에서 이뤄져야 하는가? 자치회장으로서 참으로 힘들었다.

하지만 이것이 비단 사회복지학과만의 문제로 보기에는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타 대학 타 학과의 경우 대학원생들의 인권유린이 더욱 심각한데도 자신들의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장애물들에 대한 두려움으로 어디서도 이야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었다. 물론 그러한 인권유린의 기준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는 다른 문제겠지만 적어도 이제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이 좀 더 고민해야 할 부분인 것만은 사실이다. 즉 사회복지학과가 사회에서의 소외된 계층과 또한 사회복지전반에 필요한 이론연구에 힘쓰는 것은 물론 사회복지학과내에 자신들의 복지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우스갯소리로 사회복지사들의 열악한 처우는 그들이 애초에 타인의 사회복지에만 관심을 쏟고 자신들의 사회복지를 표현하는 것에 대한 소극적임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렇다면 그러한 소극적인 행동이 개선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시기인 대학원생 시절, 사회에 나가기 전에 그들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자신의 권익에 대해 행동해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렇게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이들에 대해 편견이나 불편함을 드러내기보다 그들이 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 같은 학생으로서 함께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21세기는 소통의 시대다. 서울대 학생들도 자신들의 '사회복지'를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할 때가 왔다. 이제 자신이 겪은 문제를 소리내 드러내고 해결을 위해 행동하자.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