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금) 노르웨이의 노벨위원회는 류사오보(劉曉波)를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했다. 그는 1989년 천안문 사건이 발생하자 바로 귀국해 시위에 참여한 중국 민주화 운동의 선두주자다. 반체제 인사인 류샤오보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해 중국 정부는 심기가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곧바로 노르웨이 대사를 불러 항의했고 노르웨이와 관계 악화까지도 강력하게 경고했다.

최근 중국의 패권주의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달 일본명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중일간의 외교적 마찰이 있었다. 이전까지 중국은 분쟁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때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는 태도를 보였지만 이번 외교 분쟁에서는 적극적으로 일본에 압박을 가했다. 비단 정치적인 영역뿐 아니라 관광 및 일본에 대한 경제적인 영역에까지 제재를 가했다. 결국 일본은 이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고 더 나아가 중국은 일본에 이번 사태에 대한 사과까지 요구했다.

중국이 강력해지면서 지난 6일 중-유럽 정상회담에서도 중국은 이전과 다른 태도를 보였다. 위안화 절상을 강력하게 요구받자 원자바오 총리는 “위안화가 절상되면 대규모 부도가 발생하고 노동자들은 실업자가 돼 사회 안정이 어려워진다”며 “중국에 문제가 생기면 세계에도 재난이 될 것”이라는 직설적 어조로 반박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패권주의는 중국의 언론사인 신화통신이 미·소 냉전 당시 강대한 군사력으로 세계를 지배하려던 미국과 소련을 비판하고자 만든 말이다. 하지만 그런 미국과 소련을 비판하던 중국이 이제 그 당사자가 되고 있다. 예전과는 다르게 현대의 패권주의는 군사력보다 경제력에 큰 기반을 두고 있다. 이같이 중국의 경제력이 날로 부상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중국의 패권주의는 중국의 주변국 중 하나인 한국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가령 예전 고구려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과 모바일 한글 표기 방식을 표준화하려는 최근의 한글공정은 중국의 패권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력 대응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무모한 강력 대응은 위험하다. 외국자본에서 대중국 수출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북한 문제도 얽혀있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인 해답은 다른 국가와의 긴밀한 공조다. 중국의 패권주의는 한국 이외의 일본, 미국 등의 국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른 국가와의 공조로 중국의 패권주의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황준
사회과학계열·10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